
검사종목 | 비고 | |
---|---|---|
Routine CBC (12종) | 빈혈, 세균감염 및 염증반응, 혈소판 등 일반적인 혈액검사 | 빈혈이 심하면 임신초기부터 철분제를 복용합니다. 빈혈이 없으면 철분제는 16~20주부터 드시기 시작합니다. |
ABO/Rh type | 혈액형, Rh type | Rh 음성이면 28주, 분만 후에도 파토불린 주사를 맞아야 합니다. 정기검진중에는 24~28주, 분만 후 Rh 음성이면 양수검사, 유산, 질 출혈이 있을 시에 파토불린 주사를 맞습니다. |
HBsAg/Ab | B형 간염 항원항체 검사 | 간염보균자 [Ag(-)]일 경우 출생 시 아기에게 면역글로불린 접종을 합니다. 항체[Ag(-)]가 없는 경우 출산 후 예방접종을 하시기 바랍니다. |
HCV | C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 | |
HIV(AIDS) |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 | |
VDRL | 매독반응검사 | 임신부가 매독에 걸리게 되면 16~18주 이후에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도 감염이 됩니다. 선천성 매독은 태아의 치아, 눈, 뼈 등에 심각한 기형을 초래합니다. 임신 초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가능합니다. |
Rubella lgG/M | 풍진검사 | 임신 중 풍진에 감염이 되는 경우는 평균 20~30%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감염되는 심각한 기형을 유발합니다. 특히 임신 1개월 내에는 약 80%에서 태아감염이 일어납니다. 증세가 있거나 풍진환자와 접촉한 경우에 감염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혈청을 통해 lgG/M의 풍진 항체검사를 하는 것입니다. |
Urinanalysis | 소변검사 | 단백뇨, 당뇨 기타 염증소견등의 여러 질병을 조기 진단해 치료하기 위함 |
검사명 | 검사시기 | 발견할 수 있는 질환 | 검사가 필요한 경우 |
---|---|---|---|
산과정신지체선별검사 | 임신 전 혹은 초기 | 취약X증후군 | 가족 중에 정신지체나 자폐증상을 보이는 사람이 있는 경우 |
융모막 검사 | 임신 8주 ~ 12주 | 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염색체이상 | 이전에 원인 모를 사산이나 기형아를 출산한 경우, 기타 유전질환이 의심되는 경우, 기타 유전질환이 의심되는 경우, 35세 이상의 산모 |
쿼드 검사 | 15~20주 | 다운증후군 80%까지의 발견률 | 모든 임산부 가능 |
양수 검사 | 15주 이상 | 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염색체이상 | 쿼드마커에서 이상치가 나온 경우, 35세 이상의 산모 |
제대천자 | 20주 이후 | 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염색체이상 | 양수 검사와 동일하고 태아의 선천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|